«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역사의 틈, 이야기의 숨

📘 [마루의 한국사 문제편 ⑧] 삼국의 정치와 문화를 꿰뚫다: 통치 구조와 정신 세계를 묻는 고급형 문제 3제 본문

한국사이야기

📘 [마루의 한국사 문제편 ⑧] 삼국의 정치와 문화를 꿰뚫다: 통치 구조와 정신 세계를 묻는 고급형 문제 3제

역사-마루 2025. 6. 19. 00:51

※ 이 글은 ‘역사마루(구글 블로거)’에서 이관된 콘텐츠입니다.

 

🎨 삼국의 문화, 예술로 읽는 고대인의 정신세계

고분벽화, 불교 조각, 금관 삼국의 문화유산 속에 담긴 사상과 기술을 통해 고대 한민족의 예술 감각과 정신세계를 조망합니다.

#삼국문화비교 #고구려고분벽화 #백제미소 #신라금관 #불교미술 #삼국의예술

 

시험TIP: 출제 포인트 정리

  1. 고구려 고분문화: 모줄임 천장, 사신도 → 도교+사후관
  2. 백제 불교 예술: 정림사지 5층 석탑,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 일본 아스카 문화 영향
  3. 신라의 금관문화: 제사장적 왕권 상징, 굽은 옥·수렵적 장식
  4. 삼국 문화유산의 재료와 형식 구분: 석탑(백제), 벽돌무덤(무령왕릉), 금관(신라), 벽화(고구려)
  5. 문화-국가 매칭 오류 피하기: 고구려 벽화와 신라 금관 구별은 단골 함정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대비 문제 (삼국의 문화)

문제 1. 다음은 한 고분의 내부 구조와 벽화에 대한 <가상 답사 보고서>이다. 이 고분을 남긴 국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상 답사 보고서> 답사 유적: OOO 지역 고분군

주요 특징:
널방의 네 벽에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그린 사신도가 선명하게 남아있어, 사후 세계를 지키고자 했던 당대인의 믿음을 엿볼 수 있음.
천장은 모서리를 점차 줄여가며 쌓아 올리는 독특한 양식(모줄임 천장 구조)으로 되어 있어, 널방 공간이 위로 갈수록 웅장하고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줌.
초기 무덤에서는 씨름하는 모습이나 사냥하는 장면 등 생활 풍속도가 주로 발견되었으나, 후기 무덤으로 올수록 사신도와 같은 추상적이고 사상적인 주제가 많이 나타남.
① 중국 남조와 활발히 교류하며 온화하고 세련된 귀족 문화를 발전시켰다.
② 담징, 혜자 등의 승려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불교와 예술을 전파하였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이라는 독특한 양식으로 인해 많은 황금 유물이 온전히 보존되었다. 
④ 왕과 귀족의 합의체인 정사암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⑤ 황룡사를 건립하고, 진흥왕 순수비를 통해 넓어진 영토를 확인시켰다.
정답: ②
해설: 제시된 보고서는 고분벽화(특히 사신도)와 모줄임 천장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고구려의 고분에 대한 설명이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초기에는 생활 풍속도 위주였다가 후기에는 사신도 등 도교적·사상적 주제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② 고구려의 승려인 담징은 일본에 종이와 먹의 제조법을, 혜자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는 등 고구려는 일본의 아스카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오답 해설] 

 

① 중국 남조와 교류하며 온화하고 세련된 문화를 발전시킨 나라는 주로 백제이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은 신라의 독특한 무덤 양식이다.
④ 정사암 회의는 백제의 귀족 회의이다. 
⑤ 황룡사 건립과 진흥왕 순수비 건립은 모두 신라의 일이다.

 


문제 2. 다음 (가), (나)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유물·유적 설명>

가) 부여 정림사 터에 남아 있는 석탑으로, 단순하면서도 정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세련미가 뛰어나며, 목조 건물의 형식을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만들어졌다.

나) 충남 서산의 바위에 새겨진 불상으로, 가운데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존불이 짓고 있는 온화하고 인간적인 미소는 당대인들의 따뜻한 마음을 담고 있는 듯하여 매우 인상적이다.

 

<보기> 

ㄱ. (가)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벽돌을 쌓아 만든 탑이다. 
ㄴ. (나)는 빛의 방향에 따라 표정이 다르게 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ㄷ. (가)와 (나)를 남긴 나라는 일본의 아스카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ㄹ. (가)와 (나)는 모두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황금 유물과 함께 출토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정답: ③ 
해설: 제시된 (가)는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나)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서산 마애 삼존 불상)으로, 모두 백제를 대표하는 불교 문화유산이다. ㄴ. 서산 마애 삼존 불상은 '백제의 미소'로 불리며, 아침 햇살과 저녁 햇살 등 빛이 비추는 각도에 따라 부처의 미소가 다르게 보이는 신비로움으로 유명하다. ㄷ. 백제는 불교, 한자, 기술 등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하여 고대 일본의 아스카 문화 성립과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답 해설]

 

ㄱ.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돌(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석탑이다. 벽돌을 쌓아 만든 벽돌무덤(전축분)은 무령왕릉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혼동 유도) 
ㄹ. 황금 유물, 특히 금관은 주로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 다수 출토되었다. 백제의 유물은 세련된 공예 기술을 보여주지만, 신라만큼 황금 유물이 대표적이지는 않다.

문제 3. 다음 <상황 제시문>에 등장하는 '이것'을 제작하여 사용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상황 제시문>

"새로운 왕의 즉위식 날, 왕은 머리에 온통 황금으로 만들어진 '이것'을 쓰고 나타났다. '이것'은 머리띠 위에 나무와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하늘로 뻗어 있고, 그 끝에는 수많은 굽은 옥(曲玉)과 금 장식이 달려 햇빛을 받아 눈부시게 빛났다. 사람들은 '이것'을 쓴 왕을 보며, 그가 하늘과 땅을 잇는 신성한 존재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① 수도에 황룡사를 짓고, 그 안에 거대한 9층 목탑을 세우기도 하였다.
② 청소년 수련 조직인 화랑도를 통해 심신을 단련하고 인재를 양성하였다. 
③ 무덤의 널방 사방에 사신도를 그려 넣어 사후 세계를 지키고자 하였다. 
④ 첨성대를 만들어 천체를 관측하고 이를 농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국가적으로 공인되었다.정답: ③ 
해설: 제시문은 나뭇가지와 사슴뿔 모양 장식, 굽은 옥 등이 달린 화려한 황금 관, 즉 신라의 금관에 대한 묘사이다. 이는 왕이 곧 제사장(샤먼)이었던 신라 초기의 특징과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한다. 따라서 이 나라는 신라이다. ③ 무덤의 널방에 사신도를 그린 것은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의 특징이다.
 [오답 해설] 
① 황룡사와 9층 목탑은 모두 신라(진흥왕, 선덕여왕)의 대표적인 불교 건축물이다.
② 화랑도는 신라의 독특한 청소년 수련 조직이었다.
④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때 만들어진 천문 관측 기구이다. 
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한 나라는 신라(법흥왕)이다.

🧭 마루의 한마디
삼국 시대 문화재는 그 나라 사람들의 생각, 믿음, 기술이 다 담겨 있는 타임캡슐 같은 거야. 벽화 하나, 석탑 하나, 심지어 왕이 쓰는 금관까지도 "우리는 이런 세상을 꿈꿨어!" 하고 말하는 거지. 삼국의 문화, 비교해서 보면 더 재미있고 더 기억에 잘 남아!

🔗 본편 연결
👉[마루의 한국사 이야기 ⑧] 찬란하게 피어난 삼국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