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역사의 틈, 이야기의 숨

📘 [마루의 한국사 문제편 ⑨] 한강을 차지한 배신의 칼끝, 진흥왕과 성왕을 묻는 고급형 문제 3제 본문

한국사이야기

📘 [마루의 한국사 문제편 ⑨] 한강을 차지한 배신의 칼끝, 진흥왕과 성왕을 묻는 고급형 문제 3제

역사-마루 2025. 6. 19. 00:54

※ 이 글은 ‘역사마루(구글 블로거)’에서 이관된 콘텐츠입니다.

동맹의 손을 잡은 그날, 칼끝도 함께 쥐고 있었다—진흥왕과 성왕, 친구에서 적이 된 두 왕의 이야기.


🧠 시험 꿀팁 요약

  1. 한강 유역의 귀속 흐름 암기
    • 고구려 → 백제+신라 동맹 → 신라 단독 점령
    • ‘상류=신라, 하류=백제’ 포인트 잘 보자!
  2. 인물–사건 정확히 매칭하기
    • 진흥왕: 한강 점령, 대가야 정복, 순수비, 화랑도
    • 성왕: 수도 사비 천도, 불교 전파, 관산성에서 전사
  3. 관산성 전투는 결과 주의
    • 승리가 아님! 성왕 전사! → 백제의 치명적 패배!
  4. 동맹이 깨진 시점 강조
    • ‘나제동맹 파기’는 시험에서 자주 보는 서술형 포인트!
  5. 진흥왕의 업적 vs 허위 보기 구분
    • “끝까지 동맹 유지” 같은 보기 조심 → 진흥왕이 배신자다

✍️ '마루의 한국사 이야기 ⑨편' 심화 문제 시리즈

#진흥왕 #성왕 #나제동맹 #한강유역쟁탈전 #관산성전투 #신라의배신 #삼국관계 #한국사문제

문제 1. 다음은 6세기 중반, 신라와 백제 사이의 관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상황) 신라와 백제는 120년간 이어진 동맹을 바탕으로 고구려를 공격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가) 사건

(결과) 두 나라의 동맹은 완전히 파기되었고, 이후 서로에게 가장 큰 적이 되었다.

① 신라가 백제를 기습 공격하여 한강 유역 전체를 독차지하였다. 

② 고구려가 반격하여 두 나라 군대를 한강 유역에서 몰아내었다.

 ③ 신라가 차지한 한강 상류 지역을 백제에게 넘겨주었다. 

④ 두 나라는 고구려의 재침공에 대비해 새로운 성을 함께 쌓았다. 

⑤ 백제가 신라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요청하고 조공을 바쳤다.

 

정답: ①

[해설] (가)에 들어갈 사건은 신라 진흥왕이 동맹이었던 백제를 배신하고 한강 하류 지역까지 모두 차지해버린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120년간 이어져 온 나제동맹은 완전히 깨지고, 두 나라는 돌이킬 수 없는 원수지간이 되었습니다.

 

[오답 해설] ②, ③, ④, ⑤는 모두 신라의 배신 이후 상황과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동맹이 깨진 두 나라는 협력 대신 적대 관계에 들어섰으므로, 고구려에 공동으로 대응하거나(②,④) 백제가 신라에 굴복하는(⑤) 등의 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문제 2. 밑줄 그은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아들의 사기를 북돋아주기 위해 관산성으로 향하던 이 왕은 신라군의 함정에 빠져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였다. 이 사건으로 그의 아들들은 신라에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다.

 

 

①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고, 수도를 사비(부여)로 옮겼다. 

② 불교를 장려하고,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③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 유역을 되찾았다.
④ 관산성 전투에서 신라군을 크게 무찌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⑤ 중국 남조와 활발하게 교류하며 백제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정답: ④

[해설] 밑줄 그은 '이 왕'은 백제의 성왕입니다. 성왕은 관산성 전투에서 신라군에게 승리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라군의 함정에 빠져 전사하였습니다. [오답 해설] ①, ②, ③, ⑤는 모두 백제 성왕의 주요 업적에 해당합니다. 그는 백제의 중흥을 이끈 위대한 군주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인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습니다.

 

[오답 해설] ①, ②, ③, ⑤는 모두 백제 성왕의 주요 업적에 해당합니다. 그는 백제의 중흥을 이끈 위대한 군주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인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습니다.



문제 3. 다음 자료에 나타난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왕의 시대에 신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는 한강 유역을 장악하여 황해를 통한 교역로를 확보하였고, 남쪽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또한, 화랑도를 국가적 조직으로 개편하여 인재 양성의 기틀을 닦았다. 특히 그는 정복한 지역을 직접 돌아보며 자신의 발자취를 비석에 새기게 하였는데, 북한산, 창녕 등에서 발견된 그의 순수비는 당시 신라의 위세를 잘 보여준다.
 
 
① 한강 유역을 완전히 장악하여 중국과 직접 교역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였다. 
② 대가야를 정복하고 함경도 지역까지 진출하는 등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다.
③ 정복한 지역을 순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여러 곳에 순수비를 세웠다. 
④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여 인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⑤ 나제동맹을 끝까지 유지하여 고구려의 남진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정답: ⑤

[해설] 제시된 자료는 한강 유역 장악, 대가야 정복, 화랑도 개편, 순수비 건립 등의 키워드를 통해 신라의 진흥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진흥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끈 위대한 정복 군주였지만, 백제 성왕과의 나제동맹을 먼저 깨뜨리고 한강 유역을 독차지했습니다. 따라서 나제동맹을 '끝까지 유지했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오답 해설] ①, ②, ③, ④는 모두 진흥왕의 대표적인 업적입니다. 특히 ①번 한강 유역 확보는 신라가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